※ 2022대비 [전공국어 정동해] 1~3월 구조화반1 교재 안내 바로가기
목차
Ⅰ 현대문법
제1장. 음운론
01. 음운의 체계
❶ 음운
2020-A서술-11 음소 /ㅇ/, /ㅎ/의 특성 14
2014-A기입-07 음운 설정의 고려 사항 15
2012-13 음소 /ㅎ/과 /ㅇ/의 분포적 특성 17
❷ 모음 & 자음
2013-15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단모음 체계 19
2012-20 표준 발음법 (자음과 모음) 21
2008-08 자음의 특성 23
❸ 음절
2015-A서술-02 음절 구조 제약 25
02. 음운의 변동
2014-A기입-05 음운 변동의 유형 27
❶ 교체 – 1) 평파열음화
2011-13 음운 변동의 공통성 28
2009-14 음운의 변동 규칙 29
2007-09 표준 발음법 (받침의 발음) 30
1999(추)-08 우리말 받침의 발음 – 음절의 끝소리 규칙 31
❶ 교체 – 2) 비음동화 & ‘ㄹ’ 비음화
2015-A기입-04 음운 변동의 특징 도출 33
2013-13 국어의 음운 규칙 35
2003-05 비음화 규칙 36
❶ 교체 – 3) 유음화
2018-A서술-10 유음화의 음운론적 환경, 자음군 단순화, 규칙순 37
❶ 교체 – 4) 조음위치동화
2015-A기입-04 음운 변동의 특징 도출 39
❶ 교체 – 5) 된소리되기
2013-13 국어의 음운 규칙 41
2009-15 경음화 현상의 특성 42
❶ 교체 – 6) 구개음화
2016-A서술-09 구개음화의 통시적 변천 및 특성 파악 44
2015-A기입-04 음운 변동의 특징 도출 47
2009(모)-15 구개음화 현상 49
2001-05 구개음화의 통시적 특징 51
❶ 교체 – 7) ‘ㅣ’ 모음 역행동화
2012-14 모음 교체 유형 52
2005-16~17 ‘ㅣ’모음 역행동화 53
❷ 탈락 – 1) 자음 탈락 (자음군 단순화, ‘ㄹ’ 탈락, ‘ㅎ’ 탈락)
2013-13 국어의 음운 규칙 55
2010-15 음운의 탈락 56
2009-14 음운의 변동 규칙 57
❷ 탈락 – 2) 모음 탈락 (‘ㅡ’ 탈락, w 탈락)
2017-A서술-11 어미의 음운 현상 ‘/ㅡ/ 탈락’ 58
2012-14 모음 교체 유형 60
2009(모)-14 음운의 변동 61
❸ 축약 – 1) 자음 축약 (유기음화)
2009-14 음운의 변동 규칙 62
❸ 축약 – 2) 모음 축약
2012-14 모음 교체 유형 63
2009(모)-14 음운의 변동 64
❹ 첨가 – 1) ‘ㄴ’ 첨가, 사잇소리 현상
2009-14 음운의 변동 규칙 65
2002-05 사이시옷 표기 규정, 사잇소리 현상 66
❹ 첨가 – 2) 반모음 ‘ㅣ’ 첨가
2012-14 모음 교체 유형 67
❺ 기저형
2013-14 음운론적 특성 68
제2장 형태론
01. 단어의 형성
❶ 형태소와 교체
2010-16 문법 형태소의 특징 71
❷ 단어 형성법
2017-A기입-06 단어 형성법 74
2011-17 단어 형성 원리 75
2007-13 단어의 짜임새 분류 77
2003-01-(3) 단어 형성법 79
❸ 파생어
2020-A서술-10 파생부사의 어근 유형 분류 80
2015-A서술-03 파생어의 형성과 특징 81
2014-A기입-09 접미 파생어의 특성 83
2009-13 파생어의 특징 84
2008-12~13 파생명사와 명사형 86
❹ 합성어
1999-03 합성어의 형성 88
02. 품사
❶ 품사 분류 기준 & 품사 통용
2020-A기입-04 품사 분류 기준 89
2012-15 품사 분류 기준 90
2010-17 품사와 문장 성분 92
2009-17 품사 통용 94
2006-10 품사 통용 96
❷ 체언 – 1) 명사
2013-18 의존명사, 보조용언 97
2009-19 명사의 문법적 특성 98
❷ 체언 – 2) 대명사
2017-B서술-05 대명사의 의미적 특성 99
2014-A서술-04 인칭 대명사와 재귀 대명사의 특성 101
2009(모)-16 대명사의 종류와 특성 103
❸ 관계언 - 조사
2016-B서술-06 비교부사격조사, 공동부사격조사, 대칭형용사 105
2011-16 조사 사용의 적절성 107
2005-14 보조사 ‘-은/는’의 특성 109
2004-06 첨가어(교착어)적 특성 111
❹ 용언 – 1) 동사
2020-B서술-07 동사에 따른 문장 형성상의 특성 113
2014-A서술-05 대칭동사의 특성 115
❹ 용언 – 2) 형용사
2019-A서술-09 형용사 구문의 특성 117
❹ 용언 – 3) 보조 용언
2018-B서술-01 용언의 구성 118
2013-18 의존명사, 보조용언 120
2009(모)-19 ‘-고 있-’의 의미 기능 121
2002-06-(1) 보조 용언의 특징과 성격 123
❹ 용언 – 4) 어미
2005-18 ‘-게’의 용법 125
2000-05 어말어미의 활용 체계 126
❹ 용언 – 5) 용언의 활용
2016-A기입-05 용언의 불규칙 활용 - ‘오’ 불규칙 127
1997-05 용언의 불규칙 활용 129
03. 형태론 & 국어규범 통합형
2012-19 띄어쓰기의 용례 131
2011-15 본말과 준말 133
제3장 통사론
01. 문장의 성분
2010-17 품사와 문장 성분 134
2006-11 서술어의 자릿수 용례 135
2005-15 보어와 필수부사어 136
02. 문장의 짜임
❶ 문장의 짜임새
2011-21 문법 요소 적용 137
❷ 안은 문장
2014-A기입-06 관형절을 안은 문장 139
2013-17 문장의 특성 140
2012-16 안은 문장의 종류 142
2009-18 국어 문장의 제약 현상 144
2007-14 안긴 문장의 종류와 특성 146
2001-07-(2) 간접 인용절 변환 147
1998-05 안은 문장의 유형 148
❸ 이어진 문장
2019-B서술-02 연결 어미와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의 결합 149
2009(모)-18 연결 어미와 관련된 통사적 제약 151
1999(추)-06 문장 성분 생략 153
03. 문법 요소
❶ 종결 표현
2017-A서술-12 종결 어미 ‘-지’의 용법 154
2001-07 문장 종결 표현 157
❷ 높임 표현
2012-17 문장 높임 표현 158
2011-21 문법 요소 적용 161
2000-04 학교 문법 - 상대 높임 162
1997-04 주체 높임법 163
❸ 시간 표현
2018-A기입-05 동작의 완료와 진행 164
2011-19 시간 표현 양상 165
1999(추)-05 시제 구분 167
❹ 피동 표현
1999(추)-04 피동 표현 168
❺ 사동 표현
2016-A서술-10 사동 표현 169
2013-19 사동 표현 171
2008-14 사동 표현 173
1998-04 사동 표현 175
❻ 부정 표현
2018-A서술-11 부정 극어 ‘결코, 아무도’의 특성 176
2015-A기입-06 부정문의 부정 영역 179
2010-18 부정 표현 180
2007-15 부정문 vs 긍정문 182
제4장 언어와 국어
01. 언어와 국어
2006-09 국어의 특질 183
2004-06 첨가어(교착어)적 특성 184
제5장 어휘론
01. 어휘의 양상
2001-06-(1) 관용어의 특성 185
제6장 의미론
01. 언어의 의미
2011-14 사전 등재의 특성 187
1999(추)-07 다의어와 동음이의어 188
02. 단어 간의 의미 관계
❶ 유의 관계
2009-20 유의어 변별 요소 189
2006-12 유의 관계 용례 190
❷ 반의 관계
2019-A기입-08 반의어를 사용한 동의문 191
2014-A기입-08 반의 관계 193
2011-20 반의 관계 195
2004-05-(2) 반의 관계 197
❸ 상하 관계
2012-18 상하 관계 198
❹ 의미 관계 종합
2013-20 단어의 의미 관계 200
03. 의미의 사용
2010-20 문장의 중의성 201
2003-04-(1) 중의적 표현 202
04. 의미의 변화
2001-06-(2) 의미의 변화 양상 203
05. 문장의 의미
2007-16 전제와 함의 205
제7장 화용론
01. 이야기의 개념
2002-06-(2) 발화 상황 분석 206
02. 이야기의 요소
❶ 담화 상황 요소
2008-09 높임 표현의 적용 207
❷ 지시 표현
2009(모)-20 지시 표현 208
2004-05-(1) 지시 표현 211
❸ 높임 표현
2007-17 높임 표현의 다양성 212
❹ 심리적 표현
2011-18 심리적 표현 213
제8장 국어규범
01. 음운론 [국어규범 관련 문제]
2012-20 표준 발음법 (자음과 모음) 215
2009-14 음운의 변동 규칙 217
2007-09 표준 발음법 (받침의 발음) 218
2007-10 받침소리 발음과 표기의 관계 219
02. 형태론 [국어규범 관련 문제]
2012-19 띄어쓰기의 용례 220
2011-15 본말과 준말 222
03. 통사론 [국어규범 관련 문제]
2003-04-(1) 문장의 중의성 해소 223
04. 한글 맞춤법
2013-16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224
2010-13 한글 맞춤법 총칙 227
2009(모)-21 한글 맞춤법 230
05. 외래어 표기법
2010-19 외래어 수용과 사용 양상 232
2009(모)-13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235
06. 로마자 표기법
2010-14 로마자 표기법 236
07. 국어규범 통합형
2009-16 한글 맞춤법, 외래어 표기법 238
2003-04-(2) 한글 맞춤법, 외래어 표기법, 로마자 표기법 240
Ⅱ 중세문법
제1장 문자론 및 음운론
01 문자론 - 제자원리, 표기법
❶ 훈민정음 제자원리
1998-06 모음 변천 과정 242
1997-06 훈민정음 초성 17자 243
❷ 표기법 – 1) 중세국어 표기
2008-08 사잇소리 표기 원리 244
2007-10 받침소리 발음과 표기의 관계 245
2005-12 국어사적 지식 247
2003-06 종성 표기법 249
❷ 표기법 – 2) 향찰 표기
2016-A기입-04 향찰 표기 250
2009–24 차자 표기, 향찰 표기 252
2005-21~22 향찰 표기, 의문문 253
02 음운론 - 음운, 음운 현상
❶ 모음 & 자음
2017-B서술-06 ‘ㅇ’의 음운론적 해석 차이, 중세국어 표기법 254
2014-A서술-03 중세 이중모음 ‘ㅐ’, ‘ㅔ’, 조사 및 어미의 교체 256
2011-22 중세 국어 단모음 258
2007-11 ‘ㅂ’계 합용 병서 259
2006-13 음운의 변천 260
❷ 음운 현상
2019-A서술-12 국어 받침의 발음 변화, 음운 현상 262
2012-21 음운의 변화 264
2004-04-(2) 구개음화 267
2001-05 구개음화 269
03 문자론 & 음운론 통합형 - 훈민정음
2012-22 훈민정음 해례본 270
2010-22 훈민정음 해례의 특징 272
2009(모)-22 훈민정음의 특성 274
제2장 형태론
01. 단어의 형성
❶ 형태소
2020-B서술-08 문법 형태소의 형태와 기능 277
❷ 단어 형성법
2013-23 단어의 종류 279
❸ 파생법
2019-B서술-07 중세 국어의 파생 명사와 명사형 280
2013-22 접미 파생법 282
2008-12 파생 명사와 명사형 284
02. 품사
❶ 품사 통용
2018-A기입-04 ‘아니’의 품사 통용 286
2005-11 품사 통용 288
❷ 체언
2018-B서술-07 중세국어 인칭대명사의 쓰임 290
❸ 조사
2016-B서술-05 이형태 교체 조건 293
2015-B서술-02 격조사의 변천 296
2014-A서술-03 중세 이중모음 ‘ㅐ’, ‘ㅔ’, 조사 및 어미의 교체 297
2008-11 부사격조사 299
2007-12 교체 현상의 조건 301
2006-14 격조사 용법 303
2006-15 호격조사의 특수성, ‘ㄱ’ 덧생김, 의문형 종결어미 305
❹ 용언 & 어미
2019-A기입-02 어미 ‘-고져’, ‘-과뎌’ 308
2013-21 회상법 ‘-더-’의 용법 310
2009(모)-23 문법 형태 변화 313
제3장 통사론
❶ 종결 표현
2015-A기입-05 의문문의 유형 315
2000-06 표기법, 의문문 317
❷ 높임 표현
2005-13 높임법 319
1999-02 높임법 321
❸ 선어말 어미 ‘-오-/-우-’
2017-A기입-04 선어말 어미 ‘-오-/-우-’의 기능 322
2009(모)-24 선어말 어미 ‘-오-/-우-’의 기능 324
2004-04-(1) 선어말 어미 ‘-오-’ 327
❹ 문법적 특징 종합
2009-22 문법적 특징 329
제4장 현대 & 중세 통합형
2020-A서술-08 용언 어간의 활용과 변화 331
2012-23 어미 양상의 변화 333
2011-23 용언의 불규칙 활용 336
2010-21 어간 교체의 변화 338
2010-24 중세국어의 특징 339
2009(모)-17 중세국어의 특징 341
2002-04 문법적 특성과 변천 343
제5장 문헌 분석형
2013-24 문헌 분석형 345
2012-24 문헌 분석형 347
2011-24 문헌 분석형 349
2010-23 문헌 분석형 351
2009-21 문헌 분석형 354
2009-23 문헌 분석형 356
2008-10 높임법 분석 358
Ⅲ 논술형
2015-B논술-01 B형 논술형 – 화법과 작문 – 문장의 중의성 362
2014-B논술-01 B형 논술형 – 독서와 문법 - 훈민정음 제자원리 366
2013-2차-03 2차 논술형 - 어미의 종류와 쓰임 370
2012-2차-03 2차 논술형 - 품사 분류 및 품사 통용 373
2011-2차-03 2차 논술형 - 표기법 및 종결어미 376
2010-2차-03 2차 논술형 - 단어 형성법 378
2009-2차-03 2차 논술형 - 피동 표현 384
2009(모)-2차-03 2차 논술형 - 격조사 ‘이/가’, 보조사 ‘은/는’ 388
도서에 대해 궁금한 점을 해결해 드립니다.
글읽기 권한이 없습니다.
"19세 미만의 미성년자"는 출입을 금합니다!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조회 |
---|---|---|---|---|
2 | ![]() |
김**** | 2020-03-11 | 2 |
1 | ![]() ![]() |
관리자 | 2020-03-11 | 1 |
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
(반품 시 먼저 고객센터와 연락하셔서 반품사유, 택배사, 배송비, 반품지 주소 등을 협의 하신 후 반품상품을 발송해 주시기 바랍니다.)
- 구매자 단순 변심은 상품을 공급 받으신 날로부터 7일이내 (구매자 반품배송비 부담)
-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.광고 내용과
다르거나 다르게 이행된 경우에는 공급받은 날로부터 3월이내, 그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0일이내
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
- 반품요청기간이지난 경우
- 분철도서 구매하신 경우
- 고객님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.
단, 상품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는 제외
-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
-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
-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
- 복제가 가능한 상품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
(자세한 내용은 고객만족센터 1:1 E-MAIL상담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.)
※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,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.